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꾸러미/지식 바구니

플래시메모리가 하드디스크 대체한다

반응형

플래시메모리가 하드디스크 대체한다


플래시메모리 칩 이용한 SSD 성능 향상되면서 가격은 떨어져 삼성·소니·델 등 PC업체들 고성능 노트북에 잇달아 장착 지난해 SSD 시장 5억 달러 수준 2012년쯤 100억달러 이상 확대
컴퓨터 보조기억장치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HDD)'는 대용량 디지털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데다 개발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입출력 속도를 제공, 디지털 혁명을 이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HDD는 레코드판을 얹는 턴테이블처럼 회전하는 디스크인 플래터(platter)와 그 사이를 누비며 데이터를 읽는 헤드(head)로 구성된다. 플레터에는 데이터가 기록되는 자성 물질이 깔려 있다. '하드'란 이름은 당시 플로피 디스크에 비해 재질이 딱딱하다고 해서 붙었다. 플래터는 분당 수천에서 1만회 이상 회전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HDD의 원형이 된 제품은 1973년 IBM이 개발한 '305 라막' 모델. 이후 약 30년 넘게 HDD의 기본 구조는 변하지 않았다. 현재 사용되는 HDD는 저장용량이 3.5인치 드라이브 기준으로 1대당 1테라바이트(TB·1조바이트)를 넘었고, 처리 속도도 수천~수만 배 빨라졌다.

그러나 주변 장치들이 발전하는 속도에 비해서는 크게 뒤처졌다. 물리적으로 움직이는 기계 구동부가 있다는 것이 한계였다. HDD가 '컴퓨터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범'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러한 HDD가 마침내 변화의 조짐을 맞고 있다. 컴퓨터 주변장치 중에서 가장 변화가 더딘 것 중 하나였지만, '플래시메모리 기술'을 맞아 비약적인 성능 개선을 이룰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래 컴퓨터 성능, SSD에 달려 있다

최근 새로운 형태의 보조기억장치로 주목받고 있는 '솔리드스테이트디스크(Solid State Disk·SSD)'는 '플래시메모리 반도체 칩'을 이용한다. HDD와 달리 구동부가 없고, 플래시메모리와 이를 저장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ASIC(주문형반도체) 컨트롤러가 전부다. 제품 명칭에 '디스크'라는 단어가 있지만 실제로 '자기(磁氣) 디스크'는 들어가지 않는다.

SSD가 처음 등장한 15년 전에는 대부분 전원이 꺼지면 기록된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인 'D램'을 채택했다. 당시에는 메모리 가격이 너무 높았기 때문에 메모리를 집적시킨 대형 저장장치를 구현하는 것은 비현실적이었다. 그러나 반영구적으로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플래시메모리 기술이 발달하고, 가격도 급격히 하락하면서 '자기 디스크'가 아니라 '반도체 칩'으로만 구성된 보조기억장치가 현실화됐다.

SSD는 메모리 반도체를 사용했기 때문에 매우 빠르다. 플래시메모리 반도체 칩 1개의 쓰기 성능은 아직 초당 10~20MB(메가바이트, 1MB는 100만바이트)로 매우 부실한 수준이지만, 여러 개의 플래시메모리를 동시에 읽고 쓰면 성능이 비약적으로 높아진다.

국내 한 벤처기업 이사는 "고급형 싱글레벨셀(SLC)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초당 읽기 120MB, 쓰기 90MB를 구현할 수 있다"며 "차세대 제품에서는 이보다 2배 성능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정도라면 HDD 성능을 뛰어넘는 것은 물론이고, 향후 초고성능 컴퓨터를 구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SSD는 HDD와 달리 기계식 구동부가 없는 전자식 구조를 채택했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데이터 신뢰성 및 안정성 확보에 탁월하다. 특히 HDD 내부 플래터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탐색·회전 시간 지연 등 불필요한 동작을 완전히 제거해 데이터 접근시간을 최소화했다.

'디스크' 위에 원형으로 기록하는 HDD와 달리 SSD는 플래시메모리 내부에 '블록(덩어리)'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한다. 따라서 한 번에 많은 데이터 요청이 발생할 경우에도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다. 1초에도 수천~수만 회 이상 접속이 이뤄지는 일부 초고성능 서버에서는 접근 속도가 매우 중요한 고려 요소다. 이 밖에도 구동 장치에 소요되는 만큼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어 휴대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늘릴 수 있다.




◆플래시메모리 집적도 높아져 SSD 현실화

최근 SSD 시장의 움직임이 심상찮다. 지난해 말부터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다양한 형태에 가격을 크게 낮춘 제품을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노트북PC 제조사들은 SSD를 선택사양으로 제공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휴대기기에 채택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가격' 문제가 해소될 조짐을 보이면서 SSD 대중화의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는 것이다.

SSD 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플래시메모리의 집적도가 크게 높아지면서 단위당 단가가 크게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SSD는 기가바이트(GB, 1024MB)당 가격을 비교하면 여전히 HDD보다 수십 배 이상 비싸다. 가격조사업체 자료에 따르면 현재 3.5인치 HDD는 1TB(1000GB) 제품도 30만원이 채 안 된다. 반면 SSD는 고급형 SLC 32GB 모델의 경우 60만원대이다.

그러나 플래시메모리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가격 격차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SSD 고급형 SLC 32GB 모델은 1년 전만 해도 100만원을 호가했는데 지금은 절반 가까이 떨어진 셈이다. 보급형 멀티레벨셀(MLC) 모델은 30만원 선이 곧 무너질 전망이다.

지금까지 SSD는 기업용 서버 및 초고성능 저장장치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성능은 뛰어나지만 가격이 워낙 비싸서다. 그렇지만 지금처럼 계속 가격이 떨어지면 앞으로는 더욱 다양한 곳에서 빛을 발할 것으로 예측된다. 노트북, 휴대용 단말기, 소비자 가전 등 다양한 환경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차량·항공·군수·산업용 기기 등 극한의 특수 환경에서도 무리가 없다. 디자인도 정형화된 HDD에 비해 훨씬 자유롭다. 충격·발열·소음·소비전력 등 거의 모든 외적 요인을 견디는 내구성이 HDD보다 훨씬 우수하다.

업계에서는 장기적으로는 HDD를 밀어내고 컴퓨터 주기억장치에 이어 보조기억장치마저 반도체인 SSD로 완전히 대체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기존 HDD를 대체할 것이라는 단순한 전망보다는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내장되어 1차 보조기억장치로 자리잡는 것이 SSD의 최종 목표라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향후 집적도 경쟁에 치우쳐 있는 플래시메모리 기술이 처리속도 경쟁으로까지 확대된다면, HDD는 다량의 데이터를 장기간 쌓아 두는 '고용량 백업장치'로 밀려나 버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잇달아 SSD 채택 … 2008년 전망은 '맑음'

현재 SSD 분야에서는 플래시메모리를 생산하고 있는 업체들이 가장 적극적이다. 플래시메모리의 새로운 시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시장 점유율 45%로 낸드플래시 부문에서 전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는 삼성전자는 2006년 3월 64GB SSD 제품을 처음 출시한 데 이어,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2008 CES 전시회에서 보급형 MLC임에도 쓰기 속도가 초당 70MB에 달하는 저장용량 128GB짜리 고속 제품을 선보였다. 기존 제품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향상된 것이다.

낸드플래시 2위 업체인 도시바도 지난해 5월부터 SSD를 본격적으로 양산하기 시작한 데 이어 2008 CES에서 대용량 제품을 대거 공개했다. 세 번째 큰손인 하이닉스반도체도 당초 2009년에 SSD를 양산하려던 일정을 올 상반기로 앞당겼다. 미국 플래시메모리 카드 시장 1위인 샌디스크, 미국 최대 D램 업체인 마이크론, 세계 최대 HDD 업체인 시게이트테크놀로지 등도 SSD 시장에 군침을 흘리고 있다. 심지어 인텔은 올해 안으로 읽기와 쓰기 속도가 초당 각각 250MB, 130MB에 이르는 제품을 내놓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SSD에서 플래시메모리보다 더 중요한 것이 컨트롤러 기술이다. 컨트롤러가 SSD 성능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엠트론·뉴틸메카·오픈네트써비스·명정보기술 등 중소기업들이 다양한 기술을 전면에 내세우고 고성능 컨트롤러 경쟁에 나서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40~50여개 업체가 SSD 시장에 뛰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SSD를 자사 제품에 채택하려는 움직임 또한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삼성은 지난해 32GB SSD가 장착된 노트북 '센스Q30·40'과 UMPC(울트라모바일PC) '센스Q1-U'를 선보였다. 일본 소니는 UMPC '바이오UX'를, 델과 도시바는 'XPS 1330' '포테제 R500' 등 고성능 노트북에 SSD를 채택했다. 올해에도 UMPC 등 휴대 기기를 중심으로 시장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2012년 출시되는 노트북 10대 중 4대에는 SSD가 사용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시장조사 기관 웹피트리서치는 SSD 시장 규모가 지난해 5억8000만 달러에서 2012년 101억 달러로 20배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가트너는 SSD를 탑재한 노트북이 올해 약 400만대에서 2010년에는 8배가 늘어난 3200만대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했다.




[서명덕 인터넷뉴스부 기자 mdseo@chosun.com]
[☞ 모바일 조선일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하기]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반응형